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기획투사
- 다름의 사유
- 마이크 니콜스 졸업
- 플라톤
- 미학사1장
- anatomy of fall
- 존재와 시간
- 마사히로시노다
- 비어슬리
- 셜록주니어
- 쥐스틴트리에
- 영화예술정리
- FILMART
- 미학사
- 괴인
- 영화예술요약
- 영화예술
- 버스터키튼영화
- 영화예술2장
- 미학
- 드팔마
- 추락의해부
- 마틴하이데거
- 만개한벚나무아래에서
- 졸업 영화글
- 시노다마사히로
- 예술
- 하이데거
- 이정홍
- 상징예술
- Today
- Total
목록플라톤 (3)
공부기록

예술은 꼭 미메시스여야 하는가? 미메시스로서의 예술에서 아름다움은 원본에 의존한다. 그리고 얼마나 완전하게 모방했는지가 관건이었다. 그러면 예술작품이라고 하는 것을 그 자체로 아름답다고 말을 할 수 있는가? 예술의 자율성 문제가 대두된다. 미메시스 예술은 예술과 미를 규정하는 가장 오래된 관점이다. 이를 상징예술로 이해할 수 있다. 이집트 시대에 왕이 죽으면 왕이 죽어서도 왕국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에 피라미드 속에 그림을 그렸다. 이 그림은 사람을 상징했다. 그림은 원본을 그대로 보존시키는 것의 의미였다. 생각해 보자, 사람처럼 생기지 않게 그려놓고 사람이라고 하면 그 의미가 보존될 수 있었겠는가. 이때의 아름다움은 원본에 의존했고 원본이 아름다움을 가장 잘 모방한 예술품이 아름다운 예술품으로 규정되었다..

플라톤의 예술 비판 플라톤은 실제를 인식하고 존재하는 이데아의 모습을 닮아가기 위해 행위(미메시스)를 강조하고 이것이 좋은 행위라고 규정했다. 반면 실제를 모방하는 것이 아닌 좋아 보이는 행위를 하는 것에 비판적 입장을 견지한다. 이데아를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구미에 맞게 혹은 일면만 보고 모방하는 예술을 비판한다. 특히, 소피스트, 시인 등의 예술가들을 좋아 보이는 것을 따르는 자들이라 비판했다. 원본 자체를 모방하지 않고 재현함으로써 원본과 달라지기 때문에 '좋은' 것에서 멀어진다는 것이다. 플라톤이 모든 예술가를 싫어하지는 않았다. 그에게도 영혼의 조화에 도움이 되는 예술도 있었다. 이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는 피타고라스를 인용해야 한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은 모두 세계의 근원 아르케Arche ..

우리는 무엇을 예술작품이라고 하는가 이집트의 피라미드는 왕의 권력 과시를 위해 만들어졌고 노동자들의 손으로 만들어졌다. 피라미드의 형태는 가히 감탄을 일으킨다. 피라미드는 예술품인가? 예술은 어디서 출발했고 무엇을 예술작품이라고 부를 수 있는가? 아주 먼 옛날, 자원과 시간이 부족하여 먹고사는 것만이 문제가 되던 고대 사회에서 아름다움만을 목적으로 제작된 예술품은 발견되지 않는다. 종교적인 혹은 정치적인 표현을 위한 활동은 있었지 이를테면 '순수한' 예술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예술작품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제작행위 한 사람이 어떤 감각가능한 것을 제작했다고 생각해 보자. 피라미드일 수도 있고, 침대일 수도 있고, 그림일 수도 있다. 여기서 무엇이 예술작품이 되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