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ILMART
- 예술
- 마이크 니콜스 졸업
- 졸업 영화글
- 플라톤
- 미학사
- 쥐스틴트리에
- 비어슬리
- 버스터키튼영화
- 셜록주니어
- anatomy of fall
- 영화예술정리
- 미학
- 시노다마사히로
- 하이데거
- 미학사1장
- 마사히로시노다
- 상징예술
- 괴인
- 추락의해부
- 드팔마
- 기획투사
- 이정홍
- 만개한벚나무아래에서
- 마틴하이데거
- 존재와 시간
- 다름의 사유
- 영화예술2장
- 영화예술요약
- 영화예술
- Today
- Total
목록필사/미학사 (7)
공부기록
"플라톤은 미와 예술에 관하여 적절한 물음을 수없이 던졌다." "플라톤의 형이상학이 중대한 탐구 노선을 열게 하였다는 점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플라톤은 훌륭한 물음을 던졌을 뿐만 아니며 주목할 만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했으며, 그것을 그는 설득력있는 논증으로 뒷받침하였다." "주요한 대화편들은 대개 두 그룹으로 나뉜다. , , . 이들은 추측컨대 플라톤의 초기, 즉 소크라테스의 사망과 아카데미의 설립 사이의 기간에 해당하는 기원전 399~387년에 쓰여졌다." ", . 이 대화편들은 그의 생애 최후의 15년간에 쓰여졌다. 다만 는 이 두 시기 중간의 언젠가 쓰여졌는데 후자의 그룹에 좀더 가깝다." 1. 예술과 모방"플라톤의 핵심 용어들은" "그 변화를 추적할 수 있기는 하지만" "사상적 일관성과 통..
오늘날 우리에게 아리스토텔레스의 으로 전해 내려온 소책자인 강의록은 약 347~342년 기원전 무렵에 쓰여졌으나, 얼마 후에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인지 혹은 뛰어난 제자에 의해서인지 개정된 것이다. 논증상의 결함과 원문의 변조에도 불구하고 수세기 동안 계속되어 온 이 책의 영향력과 권위는 그 길이에 걸맞지 않을 정도이다. 이 책이나 미학적 문학적 문제가 논의되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존하는 어떤 문헌에서도 (그는 대화록 시인에 관하여도 썼으나 현재 남아 있지 않다) 체계적인 미학이라 할 만한 것은 없다. 그러나 문학장르론을 전개하고 있는 이 뛰어난 글과 특히 플라톤과 그밖의 사람들의 견해에 대한 그의 함축적인 응답에서 우리는 기본적인 미학 이론에 관한 그의 몇 가지 가치있는 주장을 정당하게 추론해 낼 ..
예술이 모든 교양인의 생활에 침투하여 있고 또 그것을 수행하도록 훈련받은 사람들에게는 특수한 기술적 관심사가 되겠지만, 예술에 관하여 훨씬 깊은 관심을 보여야 할 사람은 바로 통치자이자 교육자의 역할을 하는 정치가이다. 최고의 기술인 정치를 수행하는 그는 음악이나 회화, 시 등이 사회조직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이 적합한가 하는 물음을 던져야만 한다. 그는 예술이 청중에게 어떤 영향을 줄 것이며 예술이 예술을 산출하는 전체 문화 속에서 어떤 진정한 가치를 지니는 것인지를, 그리고 예술이 존재할 궁극적인 정당성이 무엇인지를 탐구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시금 플라톤의 상이한 사상 노선들을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그 이후의 미학사에서 계몽적이고 풍성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이 노선들도 추적해 보아..
수많은 예술작품들이 공유하고 있고 또한 자연의 대상을 포함한 다른 대상들도 함께 지니고 있는 또 다른 속성에로 고개를 돌려 보자. 이것이 곧 미의 속상 to kalon이다. 개개의 사물들 -조각상, 사람들, 말들 등- 은 이 성질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보여준다. 어떤 것들은 그 밖의 것들보다 더 아름답고, 어떤 것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 아름다움을 잃어간다. 또 어떤 것은 어떤 사람에게는 아름답게 보이지만 그 밖의 사람들에게는 그렇지 않다. 그러나 세상의 많은 구체적인 사물들에 있어 그 아름다움이 변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그 모두에 나타나는 하나의 미가 분명히 있다. 이것은 본질적인 미의 형상, 절대미이며,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만' 개념적으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 미. 변하기도 ..
플라톤의 핵심 용어들은 그의 변증론의 동향에 따라서 의미가 변화하는데, 대개 그 변화를 추적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이로 인하여 그의 사상적 일관성과 통일성에 관하여 확신하기가 지극히 어렵게 된다. 한 대화편에서는 소크라테스가 한 패거리의 모든 구성원은 어떤 속성을 지닌다고 하면서, 나중에 가서 다른 대화편에서는 단지 그들 중 몇몇만이 그러하다고 한다면, 우리는 플라톤이 자기 모순에 빠졌거나, 마음이 바뀌었거나, 또는 말장난으로 완전히 일치하는 한 쌍의 테제를 보여주고자 한 것이라고 말해야 할까? 이 문제는 그의 가장 중요한 용어들과 관련해서 제기된다. 플라톤의 미학을 이해할 때의 또 다른 중대한 위험은 이 용어들이 너무도 쉽사리 영어로 번역되고 있다는 점이다. : 플라톤 용어는 같은 말이나 다른 뜻일 때가..

미학적인 문제들을 다루고 있는 플라톤의 대화편의 수많은 귀절들로부터 추정해 보면, 이러한 문제들의 상당수는 그의 동시대인들의 지적인 대화에 이미 친숙한 주제였던 것 같다. 비단 수사학자나 서사시인들뿐만 아니라 교육받은 아테네인들이라면 호머의 진실성과 권위에 관하여, 피디아스 조각이 지닌 미의 원천에 관하여, 또는 추측하건대 끝부분에서 어리둥절한 두 동료에게 소크라테스가 강론하고 있는 테제-즉 "같은 사람이 희극과 비극 모두를 쓸 지식을 갖출 수가 있을까"-등에 관하여 열띤 논쟁에 참여하는 일이 잦았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플라톤이 제기한 미학적 물음들 중 몇몇은 당연히 그가 처음으로 공식화하였던 것이며 또 분명 그는 그렇게 명확하고 통찰력있게 공식화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 미학적 문제들, 최초의 원인들에..
제1장 최초의 사상들 예술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언제 처음으로 시작되었는지는 말할 수 없지만, 본격적인 의미에서의 미학의 출현에 앞선 단계들을 일별해 볼 수는 있다. 어떤 것, 곧 예술 작품이나 그것을 창출하는 활동은 막연하긴 하겠지만 그 외의 다른 것들과 구별되었을 것이다. 총칭적인 예술 개념은 보다 늦게 생겨났다. 그러나 예컨대 이야기나 노래, 춤 따위는 그 자체의 고유한 특질이나 주목할 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부류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 예술의 탄생에 대한 탐구가 시작된다. 그리고 이는 곧 적어도 이따금씩은 예술 대상이 어떤 방식으로든지 이야기되거나 서술되고 판단되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때 철학적으로 반성적인 사람은 흥미있는 관심거리에 대하여 돌이켜 생각해 보고서 일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