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드팔마
- 영화예술정리
- 예술
- 추락의해부
- 다름의 사유
- FILMART
- 졸업 영화글
- 미학
- 영화예술
- 미학사
- 마이크 니콜스 졸업
- 영화예술2장
- 기획투사
- 만개한벚나무아래에서
- 괴인
- 이정홍
- 플라톤
- 존재와 시간
- 셜록주니어
- 하이데거
- 쥐스틴트리에
- 미학사1장
- 시노다마사히로
- anatomy of fall
- 버스터키튼영화
- 비어슬리
- 마사히로시노다
- 상징예술
- 마틴하이데거
- 영화예술요약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1)
공부기록

19세기 말 인상주의 화가들은 사진에 대한 반작용으로 주관성을 표현하는 화풍을 펼쳤다. 그 방법은 사진이 할 수 없는 표현에 집중하는 것이었다. 인물의 주관성을 강조하는 기류는 영화에서도 있었다. 프랑스에서 1920년대 인상주의 영화들이 있었다. (르누아르, , 아벨 강스, ) 이 움직임을 말한 이유가 있다. 회화사를 살펴보면, 대상의 형체를 그대로 묘사하던 시기가 지나면 내용이 아닌 물질성에 집중하고자 한 움직임이 나타난다. 형체가 해체되고 점 선 면만 남는다. 그러나 여기에도 작가의 어떤 의도와 그림 실력은 남아 있다. 현대 예술은 이런 모든 선입견을 깨고 등장한다.예술사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있었는데, 영화로도 이런 현대적인 예술을 할 수 있을까? 당시 영화 예술가들이 가지고 있던 질문이었다. 이러..
https://www.youtube.com/watch?v=v-5Ts_i164c https://www.youtube.com/watch?v=8Q5Nur642BU이 영화는 1906년 4월 14일에 촬영되었으며, 이는 샌프란시스코 지진과 화재가 발생하기 단 나흘 전의 일이었습니다. 필름은 거의 손실될 뻔했으나, 영화 제작자인 마일스 형제들(해리, 허버트, 얼, 조)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해리 J. 마일스는 Bell & Howell 카메라를 손으로 돌려가며 촬영을 진행했으며, 촬영은 마일스 스튜디오 앞 8번가에서 페리 빌딩까지의 마켓 스트리트를 따라 케이블카의 전면에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로 이루어졌습니다.촬영 후 며칠이 지나 마일스 형제가 뉴욕으로 이동하던 중 지진 소식을 들었고, 그들은 뉴욕으로 필름 원본을 ..

시간의 동시성을 탐구한다. 반복되는 사건이다. 같은 시간에서 동시적 사건은 다중 캐릭터의 각 시점에 따라 달라진다. 사건들은 몇 번씩 반복된다. 그 양상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실제 콜롬비아 총기 사건을 모티브로 삼은 작품이다. 살인자 학생들은 자살했기 때문에 그 학살의 원인에 관한 말들이 많았다. 이 영화는 시간과 공간이 중요하다. 어떤 공간에서 삽화가 시작되는지, 어떤 경로를 따라가는지를 살펴야 한다. 또한 시간의 반복이 중요하다. 같은 사건이 약간의 차이를 두고 반복된다. 영화가 끝나고 나서 뚜렷한 도덕적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 모호하게 설계를 했다. 한 인물의 서사를, 경로를 한 번에 보여주지 않는다. 어느 공간에서 시작해 다른 공간에서 종결된다. 즉 죽음을 맞이한다. 한 인물의 서사를 잘랐으니 ..

연속편집연속편집의 기본 목표는 공간, 시간, 사건 행위가 쇼트와 쇼트의 유연한 연결을 확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쇼트에서 쇼트로 이어질 때 조형성의 대체적인 유사성은 유지된다. 조명의 색조는 변하지 않아야 하며, 사건행위는 화면의 중심에 위치한다.편집의 리듬은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원사는 지속시간이 길고 접사는 짧다. 공간적 연속성 : 180도 체계연속편집에서 한 신의 공간은 행동축에 따라 구축된다. 이 중심선을 존중할 수 있도록 쇼트를 계획, 촬영, 편집한다. 카메라가 이 가상선의 동일 영역 내에 머무르는 한에서는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다. 180도 체계는 화면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가 일관되게 남아있도록 한다. 180도 체계는 일관된 시선을 보장해준다. : 인물이 한 컷에서 오른..

1. 제 1차 세계대전 이전의 유럽"유럽은 1815년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오랫동안 장기간의 대규모 전쟁이 벌어지지 않는 상대적인 평화를 즐겼다. 한편으로 경제가 발전하는 상황에서 유럽 문명은 과학과 이성의 토대 위에서 영원히 진보와 번영을 누리리라는 낙관론이 세간에 널리 퍼져 있었다." "기묘하게도" "우생학과 인종이론이 과학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면서 인간은 전쟁을 통해 종을 개량하고 발전한다는 식의 전쟁 예찬이 횡행했다." "한편으로는 근대의 과학기술, 규율, 경제발전의 성과가 결합되면서 가공할 파괴력을 지닌 현대적 군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19세기 후반에 개발된 후장식 대포, 기관총, 라이플, 잠수함, 어뢰, 항공기를 비롯한 현대식 무기가 산업혁명을 통해 배양된 대량 생산방식과 결합하여 유럽의 주요..

1. 장밋빛 미래에서 절망의 세기로"1990년을 맞이하는 서양 사람들은 이들보다 1세기 후에 살았던 사람보다 훨씬 더 낙관적이었다." "오랫동안 총성이 들리지 않았고, 기술은 끝없이 발전하고 있었으며, 삶은 점점 더 풍요로워지고 있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국가와 사회가 더욱 진보하리라는 믿음을 자연스레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두 차례에 걸친 대전으로 사람들은 더욱 비관론에 젖어들게 되었고, 홀로코스트 등 인종 전쟁과 이데올로기 전쟁을 겪으면서 절망의 나락으로 빠져들었다.""왜 이러한 일이 벌어졌을까?" "이 파국은 사실 19세기 후반에 거세진 식민지 쟁탈전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유럽 국가들은 식민지를 놓고 서로 갈등을 빚었지만 가급적 총을 감춘 채 평화를 연출하여 겉으로는 진보와 화합이 계속..
맥베스의 경우에는 다른 비극의 주인공과 달리 계획적인 범죄, 의도된 범죄였다.(그것이 마녀의 유혹, 아내의 부추김에 기인한다 하더라도)"이렇게 분명한 악행을,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범하는 인물이 어떻게 비극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주기에 우리는 그의 죽음에 환호하기보다는 그 비극적인 종말을 안타까워하는가?" 맥베스는 악역 빌런이 아닌 비극에 빠져 관객의 연민을 일으키는 주인공이다. "우리가 맥베스를 동정하게 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맥베스의 살인은 인륜과 도덕을 저버리는 그야말로 잔인무도한 행위다." "그러나 우리가 그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면 그 첫 번째 이유는 그가 악의 유혹에 빠져 드는 상황의 특수성에 있다." : 마녀들의 역할고운 건 더럽고 ..
“인간은 언제나 세계를 탐색하면서 눈에 보이는 것은 이해하려 하고 너무 멀리 있어 검토할 수 없거나 아예 볼 수 없는 것은 추론하려 했다.” “사회들은 각기 고유한 선조의 영혼, 신, 성소, 영매를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 사회의 관념과 관행은 이웃 사회들이 보기에 알아들을 수 없는 언어만큼이나 이질적인 것이었다.” “약 2600년 전부터 중요한 사상가들이 문화적 경계를 넘는 데 성공해 현재까지 살아남은 새로운 지적 체계들을 창안했다.” “철학이라 부르는 사고방식, 초기 수학과 과학적 탐구 그리고 근동에서 예수와 무함마드가 창시한 새로운 두 종교가 포함되었다.” 1. ‘축의 시대’? “카를 야스퍼스는 고대 후기의 특별한 ‘축의 시대’-종교와 철학을 포함하는 사유의 근본적인 범주들이 태동한 시대-라는 ..